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기술 및 유지보수/ChatGPT

챗GPT에게 물어본 독도는 누구땅? - 역사, 지리, 외교적 관점에서 분석

by typenine9 2024. 2. 6.
300x250

챗GPT에게 물어본 독도는 누구땅? - 역사, 지리, 외교적 관점에서 분석

 

독도는 누구땅?

 

아무리 봐도 독도는 우리땅인데 자꾸 자기내 땅이라 우기는 일본의 입장이 얄밉기만 합니다. 챗GPT 또한 황당한 답을 했다는 기사를 보고 다시 물어보지 않을수가 없었습니다. 독도는 누구땅인지에 대해.

 

 

[와글와글] "독도는 누구 땅?" 묻자‥챗GPT의 황당 답변

일본이 끊임없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가운데,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 챗 GPT가 '독도는 누구 땅'이냐는 물음에 황당한 답변을 내놔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어떤 대답이었을까요? 오픈 AI사

n.news.naver.com

 

질문에 있어서 필자는 한국사람인지라 프롬프트를 만들때 한국의 입장을 대변하려는 글이 들어가는건 어쩔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물어보기로 했고, 우리는 왜 우리땅이라 우길 수 있는지, 그들은 왜 자기네들 땅이라 우기는 건지에 대한 점을 중점으로 물어봤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챗GPT의 누구의 영유권인지에 대해 명확히 해달라는 요청까지 했습니다. 

 

독도 이미지

 


 

독도, 역사, 지리, 외교적 관점에서 본 영유권 논쟁

 

역사적 배경

독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는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독도가 고려 시대부터 한국의 영토로 기록되어 왔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15세기 조선 시대의 공식 문서인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독도가 울릉도와 함께 조선의 영토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일제 강점기 이전에도 조선과 그 후속 국가인 대한제국은 독도를 자국의 영토로 관리해 왔다고 주장합니다.

 

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일본은 1905년에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시켰고, 이는 일제 강점기의 시작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1952년 이승만 대통령이 선포한 '평화선'을 기점으로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명확히 했습니다. 이후 한국은 독도에 경찰을 상주시키며 실질적인 영유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평화선 모습
이승만 대통령이 선포한 '평화선'

 

지리적 관점

지리적으로 독도는 한반도의 동쪽, 울릉도와 일본 본토 사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지리적 위치 때문에 양국 모두 독도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중요한 근거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한국은 독도가 한반도와 더 가까우며, 역사적으로 한국이 관리해 온 지역이라고 주장합니다. 반면, 일본은 독도가 일본 본토에 가까운 자국의 자연 연장선상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외교적 관점

외교적으로 독도 문제는 한일 관계에서 민감한 이슈입니다. 일본은 국제법과 외교를 통해 자국의 영유권 주장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이는 양국 관계에 긴장을 유발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반면, 한국은 실질적인 통제를 바탕으로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에서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시선

전문가들은 독도 문제를 단순한 영토 분쟁을 넘어서, 역사적 정의, 국제법의 적용, 지역 안보 환경과 같은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합니다. 역사적으로 한국의 영토였던 근거는 분명하지만, 국제법적으로는 복잡한 해석이 가능한 여지가 있습니다. 또한, 동북아 안보 환경에서 한국과 일본은 중요한 협력 파트너이기도 하여, 이 문제가 양국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외교적 관점 모두에서 한국의 땅이라고 볼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습니다. 한국은 실질적인 통제를 통해 영유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독도가 한국의 영토였음을 증명하는 다양한 기록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단순히 영토 분쟁을 넘어서 양국 간의 국제적, 외교적 관계에 깊이 연관되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국 간의 신중하고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합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명백히 한국의 영토가 맞는데 국제법적으로는 복잡한 해석이 있다는게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진짜 세종실록지리지와, 평화선에 독도를 우리땅이라 명시한 항목이 있는데도 일본이 자기 땅이라 우길 수 있는게 이상해서 다시 물어봤습니다. 어떤 이유로 일본이 자기네들 땅이라 우길 수 있는지

 

독도 모습

 


 

일본이 독도(일본에서는 다케시마라고 함)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는 주로 역사적, 법적 측면에서 제시됩니다. 일본의 주장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포인트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 주장: 일본은 17세기부터 다케시마(독도)를 이용해 왔다고 주장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역사적 문서와 기록을 근거로 듭니다. 특히, 일본은 1905년에 다케시마를 시마네현에 편입시킨 공식적인 결정을 근거로 삼습니다.

 

법적 주장: 일본은 국제법과 자국의 법률에 따라 다케시마가 일본의 영토라고 주장합니다. 1905년의 시마네현 편입 결정을 일본은 자국의 영토 확장의 합법적인 과정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질적 통제 주장의 부재: 일본은 한국이 실질적으로 독도를 통제하기 이전, 즉 1952년 이승만 라인 선포 이전에 이미 일본이 독도에 대한 주권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한국이 실질적인 통제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역사적,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영유권 주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에서의 입장: 일본은 국제사회, 특히 유엔 등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며, 국제법적 해결을 추구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이 독도에 대한 자신들의 주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 한국은 역사적, 지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강조하며, 일본의 주장을 근본적으로 반박하고 있습니다. 독도 영유권 문제는 복잡한 역사적 배경과 국제법적 해석이 얽혀 있는 민감한 이슈로, 양국 간의 깊은 논쟁을 낳고 있습니다.


 

일본은 일제강점기 때 독도를 자신의 땅으로 편입시켰다는게 주 입장인듯 합니다. 그 이후 이승만 대통령이 선포한 '평화선'은 무시한채 말이죠. 웃긴건 실질적인 관리는 현재 한국이 하고 있는데 국제법으로는 자신의 땅이라 계속 우기고 있는 중이라고 합니다. 국제법에 대해서는 일본이 주장중이나 이 주장이 불법이라는 의견 제기가 상당합니다.

 

 

국제법상 독도영유권의 법적 근거

Ⅰ. 서론 독도의 영유권이 일본에 귀속된다는 일본의 주장에 대해 한국은 독도의 영유권이 한국에 귀속된다고 주장한다. 이는 한일간 독도문제의 기본과제이다. “영유권”이란 국제법에 의해

www.lawtimes.co.kr

 

이 논란은 끝이 없고, 각자의 주장은 거세지고만 있는 현실입니다. 챗GPT에게도 그래서 명확히 누구 땅이냐고 물어봤지만 뚜렷한 입장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확실한건 역사적으로는 우리 땅이고, 실질적인 관리도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건 분명했습니다. 이만한 이유면 우리땅임이 확실한데 계속해서 우기는 일본의 입장이 답답할 뿐입니다. 

 

요즘 독도는 일본땅이라는 주장에 대한 여론이 점점 약해지는 추세입니다. 큰 관심을 안두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인데 이런 안일함이 쌓여 결국 독도라는 땅을 우리나라에서 지워버릴 수도 있을 까봐 우려되는 지금입니다.

 

독도는 대한민국 땅입니다
출처: 데일리뉴스

 

▼ 챗GPT로 할 수 있는 것들 ▼

 

 

대한민국 2023 아시안컵 우승확률은? ChatGPT가 예측한 그 결과는?

대한민국 2023 아시안컵 우승확률은? ChatGPT가 예측한 그 결과는? 기적의 연속인 대한민국 축구팀 자고 일어났더니 4강 진출에 성공해 있는 대한민국이었습니다. 여러 위기 논란도 있었지만 그럼

typenine9.tistory.com

 

 

챗gpt가 예측한 2023 MBC 연애대상은 기안84 , 수상가능성은?

챗gpt가 예측한 2023 MBC 연애대상은 기안84 , 수상가능성은? 2023 MBC 연예대상에서 눈길을 끄는 이슈가 터졌습니다. 챗GPT가 기안84를 대상 주인공으로 예측했습니다, 그에 대한 기대감이 폭발적으로

typenine9.tistory.com

 

<